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의고사 성적표 제대로 보는 법

by 꼬미꼬 2023. 2. 28.
반응형

  시험을 잘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적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모의고사 성적표를 제대로 읽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원점수/표준점수/백분위/과목별 점수/보충 문제/문항별 정답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먼저 원점수/표준점수/백분위 부분을 살펴봅시다. 성적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기본 개념입니다. 복잡하게 들리겠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원점수

  실제로 맞힌 점수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점수와 같은 개념입니다. 국어의 경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한국사와 탐구 과목은 100점 만점에 50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실제로 받은 점수는 원점수입니다.

 

표준점수

  개인의 원점수가 전체 점수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국어와 수학의 경우 표준점수 범위는 0점부터 200점까지입니다. 평균값인 100을 기준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표준화 점수는 과목의 난이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각 과목의 난이도. 난이도가 높을수록 평균이 낮을수록 표준화 점수가 높아집니다. 탐구 과목의 경우 표준화 점수의 범위는 0에서 100입니다. 평균은 50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영어와 한국사는 절대평가로 표준점수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백분위

  백분위 시험에 응시한 모든 학생이 100점이라면 나의 순위는 몇 등인가요? 자신의 순위입니다. 예를 들어 전국 백분위수가 약 96%인 경우. 이는 이 학생 뒤에 약 96명의 학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자신이 4등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백분위를 조회하여 성적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등 4% 2등 7% 3등 12% 이렇게 정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학생은 백분위수가 96.32%로 상위 4% 범위에 속하므로 1등급입니다.

 

과목별 득점 + 보충문항

  국어, 수학, 영어의 영역별 점수를 표시합니다. 내가 잘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적표 뒷면을 보면 각 섹션에 대한 자세한 문제 목록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확인하고 취약한 부분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또한 틀린 문제를 바탕으로 어떤 부분을 더 공부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참고 자료로는 각 과목 조합에 대한 전국 백분위 점수가 있습니다. 각 과목 조합에 대한 전국 백분위 점수. 이것은 가장 유리한 조합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최적의 조합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백분율은 단순히 각 과목 조합의 합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대학에 따라 백분율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문항별 정오표

  문제별 수정 사항 각 문제에는 학생이 표시한 답, 정답, 채점 결과 및 정답의 백분율이 표시됩니다. 정답 비율은 A부터 E까지 문자로 표시됩니다. 각 문자는 다음과 같이 정답의 백분율을 나타냅니다.

 

  • A 80% 이상
  • B 60~79
  • C 40~59
  • D 20~39
  • E 20% 미만

 

  예를 들어, 수학 오답 시트를 보면 문제 A-D는 맞고 파트 E만 틀린 경우 개념보다는 좀 더 어려운 응용 문제를 푸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틀린 문제와 정답 비율을 기준으로 틀린 문제와 정답 비율에 따라 점수를 매깁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댓글